직장인 필수! PC 카톡 2개 실행, 1분 만에 끝내는 '매우 쉬운 방법' 공개!
목차
- PC 카카오톡 2개 실행이 필요한 이유와 오해
- 가장 쉬운 '멀티 로그인' 핵심 원리 이해하기
- 준비물: 카카오톡 구버전 (32비트) 설치 파일 다운로드 및 주의사항
- Step 1: 현재 카카오톡 제거 및 구버전 설치
- Step 2: 카카오톡 설치 경로 복사 및 폴더 이름 변경
- Step 3: 두 번째 카카오톡 실행을 위한 '바로가기' 만들기
- '매우 쉬운 방법'의 장점 및 활용 팁
- 자주 묻는 질문 (FAQ)
PC 카카오톡 2개 실행이 필요한 이유와 오해
많은 직장인과 개인 사업자들은 업무용 계정과 개인용 계정을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합니다. 특히 PC 환경에서 두 개의 카카오톡 계정을 동시에 로그인해놓고 사용하면, 스마트폰을 계속 확인하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 효율이 크게 향상됩니다. 하지만 카카오톡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PC에서 하나의 계정만 실행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별도의 편법이나 프로그램 설치 없이 2개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흔히 '투컴'이나 '가상 머신' 같은 복잡한 방법을 떠올리지만, 사실은 아주 간단한 원리를 이용해 '매우 쉬운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바로 카카오톡의 '설치 경로'를 다르게 만들어, PC가 각각의 카카오톡을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가장 쉬운 '멀티 로그인' 핵심 원리 이해하기
카카오톡이 하나의 PC에서 하나의 계정만 허용하는 이유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특정 경로'를 기준으로 실행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사용할 '매우 쉬운 방법'은 이 원리를 역으로 이용합니다. 카카오톡 구버전(32비트)의 설치 파일은 현재 설치된 카카오톡과 경로만 다르면 중복 설치를 허용하는 틈이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카카오톡을 기본 경로에 설치한 후, 해당 설치 폴더를 통째로 복사하여 '다른 이름'으로 변경해줍니다. 이렇게 되면 PC에는 '카카오톡 A'와 '카카오톡 B'라는 이름의, 실행 파일은 같지만 경로가 완전히 다른 두 개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됩니다. 각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완벽하게 두 개의 카카오톡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별도의 복잡한 레지스트리 수정이나 멀티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어 '매우 쉽고' 안전합니다.
준비물: 카카오톡 구버전 (32비트) 설치 파일 다운로드 및 주의사항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현재 카카오톡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최신 버전(64비트)이 아닌, '구버전' 또는 '32비트 버전'의 설치 파일이 필요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구버전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자료실이나 블로그 등에서 '카카오톡 PC 32비트 구버전'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파일 이름은 보통 'KakaoTalkSetup.exe' 형태로 되어 있으며, 파일 크기를 확인하여 너무 작거나 이상한 파일은 피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64비트 최신 버전은 이미 설치 경로를 완전히 분리하는 방식이 막혀 있어 이 방법이 통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32비트 구버전 설치 파일을 준비해야 합니다.
Step 1: 현재 카카오톡 제거 및 구버전 설치
먼저 현재 PC에 설치된 카카오톡 프로그램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제어판의 '프로그램 제거' 기능을 이용하거나, 카카오톡 설정 내의 'PC 카카오톡 삭제' 기능을 이용해 깨끗하게 지워줍니다. 제거가 완료되면, 준비한 '카카오톡 구버전 (32비트)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 경로는 기본값인 'C:\Program Files (x86)\Kakao\KakaoTalk'에 그대로 둡니다. 설치 후 첫 번째 계정(예: 개인 계정)으로 정상적으로 로그인을 완료합니다. 이 카카오톡이 '첫 번째 카톡'이 됩니다.
Step 2: 카카오톡 설치 경로 복사 및 폴더 이름 변경
설치가 완료되면 윈도우 탐색기를 열어 카카오톡이 설치된 폴더로 이동합니다. 기본 경로는 'C:\Program Files (x86)\Kakao'입니다. 이 폴더 안에 있는 'KakaoTalk' 폴더 전체를 선택하고 복사합니다. 그리고 동일한 'C:\Program Files (x86)\Kakao' 경로에 붙여넣기를 합니다. 붙여넣기가 완료되면 'KakaoTalk - 복사본'이라는 새로운 폴더가 생성됩니다. 이 폴더의 이름을 알아보기 쉽도록 'KakaoTalk_Biz' (업무용) 또는 'KakaoTalk2' 등으로 변경해줍니다. 이 폴더 안의 내용물이 '두 번째 카톡'의 프로그램 파일이 됩니다.
Step 3: 두 번째 카카오톡 실행을 위한 '바로가기' 만들기
이름을 변경한 폴더, 즉 'C:\Program Files (x86)\Kakao\KakaoTalk_Biz' 폴더 안으로 들어갑니다. 그 안에 있는 실행 파일인 'KakaoTalk.exe' 파일을 찾습니다. 이 파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보내기' ->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바탕 화면에 'KakaoTalk.exe - 바로 가기'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이 아이콘의 이름을 '업무용 카톡' 등으로 변경하여 구분하기 쉽게 만듭니다. 이제 이 '업무용 카톡' 바로가기를 실행하면, 기본 경로에 설치된 카카오톡과 완전히 별개로 실행되는 새로운 카카오톡 창이 열립니다. 여기에 두 번째 계정(예: 업무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두 개의 카카오톡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매우 쉬운 방법'의 장점 및 활용 팁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단순함입니다. 별도의 유료 프로그램이나 복잡한 시스템 설정을 건드릴 필요가 없습니다. 카카오톡의 설치 경로를 분리하는 단순한 원리를 이용하므로 PC 자원 소모도 최소화됩니다. 또한, 안전성도 높습니다. 이는 카카오톡 프로그램 자체를 변조하지 않고, 단지 파일 경로만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안상의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활용 팁으로는, 두 개의 카카오톡 창을 헷갈리지 않도록 '업무용 카톡'의 프로필 사진이나 배경색을 확연히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윈도우 작업 표시줄에 두 개의 아이콘을 고정해두면 클릭 한 번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도 되나요?
A. 일단 이 방법으로 두 개의 카카오톡이 정상 작동하고 있다면, 자동 업데이트를 절대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만약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설치 경로가 합쳐지거나 최신 버전의 멀티 로그인 제한 정책에 걸려 하나의 카톡만 실행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업데이트를 수동으로 막아주거나, 새로운 계정으로 로그인한 폴더는 인터넷 연결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2. 두 번째 카카오톡이 실행은 되는데 로그인이 안 돼요.
A. 이는 주로 설치 파일을 64비트 최신 버전으로 사용했거나, 'KakaoTalk' 폴더를 복사할 때 제대로 복사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반드시 32비트 구버전 설치 파일을 사용했는지, 그리고 'KakaoTalk' 폴더를 통째로 'KakaoTalk_Biz'와 같이 다른 이름으로 완벽하게 복사했는지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Q3.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도 되나요?
A. 윈도우를 재설치하면 이전에 설정한 모든 내용이 초기화되므로, 이 방법을 다시 처음부터 진행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PC에 설치된 파일 경로에 의존하는 방식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씹' 걱정 끝! 카톡 미리보기 방지, 10초 만에 설정하는 초간단 꿀팁! (0) | 2025.10.15 |
---|---|
'싫어요' 누르기 전에! 카톡 공감하트 삭제, 10초 만에 끝내는 매우 쉬운 방법 (0) | 2025.10.14 |
'앗, 실수!' 카톡 메시지 삭제,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초간단 비법 대공개! (0) | 2025.10.13 |
실수 없이 카톡 대화 내용 영구 삭제하는 '매우 쉬운' 완벽 가이드 (0) | 2025.10.13 |
'나 차단했니?' 더 이상 고민 끝! 카톡 친구차단과 프로필 비공개, 10초 만에 완벽하게 (0) | 2025.10.12 |